[예민한 위와 장 달래기] 위식도역류질환(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)
스터디하면서 정리한 내용은 이곳에!!!
<예민한 위와 장 달래기>
1장
1. 연동운동이란?
: 장내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장내 음식물들을 이동시키는 위장관의 역동적인 움직임(peristalisis)
2. 소화의 전체 구조 간략하게 정리해보기
: 식도-위-소장-대장-직장-항문
* 입,위,소장 표면: 소화효소 분비샘 존재
* 간,췌장: 소화액 분비 -> 음식물이 혈류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용성으로 바꿈
2장
1. 역류성식도염이란?
: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이 식도로 역류되어 생긴 식도의 염증
2.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?
: 위식도역류(하부 식도괄약근이 약해져서 위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; weak lower esophageal sphincter)를 유발하는 음식, 약물, 신경계 물질, 질환 등등
- 복압을 증가시키는 조건: 과체중, 임산부, 심하게 구부리거나 드는 행동, 복부 운동, 거들, 조이는 벨트
- 음식과 생활습관: 흡연, alcohol, 카페인 (커피, 차, 코코아, 콜라 등은 위산 자극해서 이중으로 영향), 민트, 초콜렛, 튀김, 기름진 음식, 양파, 마늘, 감귤류, 토마토, seasoned meat, 핫도그, 겨자, mexican food등.... 음식은 개인차
- 어떻게 먹느냐: 아침, 점심 거르고 저녁에 과식-위내 압력 높임식사 후 오른쪽으로 눕기도 안좋음식후 3시간은 기다렸다가 취침하기 (눕지 말란 뜻)
- medical conditions: 천식, 소화성궤양, 항암치료, Narcotics
- Drugs ↓
Bronchodilator | theophylline |
CCB | diltiazem, nifedipine, verapamil |
NSAIDs | ibuprofen, naproxen, aspirin |
Bisphosphonate | alrendronate |
Progesterone | medroxyprogesterone acetate, noretindron acetate |
TCAs | amitriptylline, nortriptylline, protriptylline |
3.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은?
: 가슴쓰림(Heartburn)
목의 뒤쪽으로 찌르는 느낌, 신 맛
4. 양성자펌프억제제 검사란?
:역류성식도염인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서 PPI를 복용해 보는 것
PPI가 효과가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.
5. 식이요법/생활가이드
- 과식하지 않기. 적게 먹고 천천히 먹기
- 긴장 풀기. stress relief
- 식사 후에 눕지 않기(3시간정도), 구부리거나 무거운 물건도 들지 않기
- 자기전에 먹지말것
- 체중 줄이기
- 벨트 조이지 않기
- 자극적 음식 피하기(고지방 음식, 매운 음식, 토마토, 감귤류, 마늘, 양파, 우유, 탄산음료, 커피, 차, 초콜릿, 박하, 콜라, alcohol...)
- 흡연 피하기
- 껌 씹기(침 분비 증가)
- 머리를 높이고 잔다
- 격렬한 운동은 공복에(적어도 식후 2시간)
6. 치료약물 정리
ㄱ. 제산제(개비스콘 원리)
:Mg, Al, Ca
- calcium carbonate(CaCO3): Renal dysfx 신장애 환자 사용금지-고칼슘혈증때문
- 페퍼민트 첨가 제산제: GERD환자에게 추천X-식도괄약근 이완때문
ㄴ. PPI
a. 기본용법정리
- 표준용량을 일 1회 아침(첫 식사) 식전 30분 전 복용
- 초 치료로 표준용량을 최소 4-8주 투여
- 효과가 적으면 표준용량을 BID로 or 다른 종류 제제로 변경
- BID 했는데도 효과 없으면 further exam needed
b. P-cab 칼륨경쟁적위산분비차단제(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)
- 위산 활성화 필요 없음-식사 관계없이 복용가능
- proton pump와 가역적 결합-K+유입 차단-위산분비 차단
<PPIs VS P-CABs>
PPIs | P-CABs |
conversion to a reactive form | no need to converstion |
reversivle binding to the external surface of proton pump | reversible binding to K+ binding domain of proton pump |
need to stimulate proton pump | no food effect |
inhibit activated proton pump only | block both resting and stimulated proton pump |
<table 출처: www.thecleanclinics.com/221439244065>
c. 유지요법을 하는 이유 설명
: 미란, 궤양 출혈등의 증상 재발률이 높기 때문?
ㄷ. 위장운동 촉진제
mosapride, itopride..
- 위식도역류질환의 발생기전에
-하부식도 조임근 압력의 감소
-식도 산청소 지연
-위배출 지연
등의 식도 및 위운동의 비효율성 관여 - 이러한 증상들의 개선 효과로 PPI와 병용 투여서 도움
ㄹ. 항우울제, 항불안제
- 위식도질환 병태생리에 "식도의 과민성"이 관여하므로 감각을 둔화시킬 목적으로 쓴다
(역류는 심하지 않은데 증상이 심한 경우) - 위산분비 조절제/위장운동 촉진제 효과가 적은 경우 내장 통증 조절의 의미로 도움
- 가슴쓰림이나 비심인성 흉통 환자에게 도움
ㅁ. Rebamipide
Rebamipide, an amino acid derivative of 2-(1H)-quinolinone, is used for mucosal protection,[1] healing of gastroduodenal ulcers, and treatment of gastritis.[2] It works by enhancing mucosal defense, scavenging free radicals,[3] and temporarily activating genes encoding cyclooxygenase-2.[4]
Studies have shown that rebamipide can fight the damaging effects of NSAIDs on the GIT mucosa,[5] and more recently, the small intestine, but not for naproxen-induced gastric damage.[6]
Rebamipide - Wikipedia
Amino acid derivative RebamipideClinical dataTrade namesMucosta (JP), Rebagen (KR, CN, IN), Rebagit (RU), Rebamax (ID)AHFS/Drugs.comInternational Drug NamesRoutes ofadministrationBy mouth (tablets)ATC codeIdentifiers 2-[(4-chlorobenzoyl)amino]-3-(2-oxo-1H-
en.wikipedia.org
- 위점막 보호제
- 위십이지장궤양, 위염 치료
- 점막보호촉진, 프리래디칼 제거, COX2 gene활성화
- NSAIDs로 인한 GIT점막손상을 줄여줄 수 있음
<참고 https://youtu.be/VYfyUzcZWWk>